본문 바로가기

BIM10

레빗 벽 그리는 법 레빗 벽 그리는 법 레빗으로 벽 그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Wall 선택Floor Plan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리본메뉴 중 "Wall"을 선택합니다.  2. Wall 모델링그러면 아래와 같이 리본메뉴가 Wall을 모델링하기 위한 Modify 화면으로 바뀌는데요.원하는 대로 세팅을 하고 Floor Plan 화면에서 마우스 클릭 & 드래그하시면 벽을 손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3. 모델 체크벽을 모델링했으면 내가 원하는대로 모델링되었는지 체크를 해봐야 합니다. 3D 설계 특성상 높이가 안맞는 경우가 자주 생기기 때문에 객체를 회전시켜가면서 모델링 상태를 체크해야 합니다. 키보드에서 "F3"을 누르거나신속접근막대(=툴바)에서 🏠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아래와 같이 3D 모델을 손쉽게 확인해볼 수 있습.. 2025. 3. 31.
Revit 단축키 모음 오늘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Revit 단축키 모음을 정리해드릴게요. 설계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려면, 마우스를 최소한으로 움직이고 손이 기억하도록 단축키를 익히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래는 기본 설정 기준이며, 필요하면 사용자 정의(Keyboard Shortcuts : KS)로 변경도 가능합니다.Revit 자주 쓰는 핵심 단축키① 모델링 및 작성 관련WA : 벽(Wall)DR : 문(Door)WN : 창(Window)CM : 컴포넌트 배치(Component)RT : 룸 태그(Room Tag)CL : 기둥(Column)RM : 공간(Room)GR : 그리드(Grid)RP : 참조 평면(Reference Plane)② 치수 및 주석DI : 치수(Dimension)TG : 태그(Tag)TX : 텍스트(.. 2025. 3. 31.
현실적인 BIM 설계 연봉 현실적인 BIM 설계 연봉BIM 설계를 처음 시작한 신입의 경우, 보통 연봉은 2,800만 원에서 3,500만 원 사이에서 형성됩니다. 이 시기의 BIM 설계자는 보통 Revit 같은 모델링 툴을 기본적으로 다룰 줄 알고, 단순한 객체 배치나 도면화 정도를 수행합니다. 툴 능력은 있지만 프로젝트 흐름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수준이죠.경력이 3~5년 차로 접어들면 연봉은 평균 3,800만 원에서 4,800만 원 정도까지 올라갑니다. 이 단계에서는 clash 검토를 도와주거나 도면을 실질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고, 건축·설비·전기 분야 중 하나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를 갖춘 상태가 됩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서브 매니저 역할까지 맡는 경우도 있습니다.5~8년 이상이 되면 중급 BIM 설계자 .. 2025. 3. 30.
BIM 설계사례 정리 오늘은 실무에 바로 참고할 수 있도록 BIM 설계사례(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 사례)를 구체적인 프로젝트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한 모델링이 아니라, 설계 품질 향상, 간섭오류 예방, 물량 산출 자동화, 공정 시뮬레이션, 유지관리 연계 등 실제 BIM이 어떤 문제를 해결했고 어떤 성과를 냈는지가 핵심입니다.BIM 설계사례 ① : 서울시 신청사구분내용프로젝트 개요연면적 약 90,000㎡, 지하 5층 ~ 지상 13층, 2013년 준공BIM 적용 목적설계 품질 제고, 시공 오류 예방, 공정 간섭 검토BIM 활용 범위건축·구조·설비 전 분야 모델링주요 성과– 3D 모델 기반으로 실간섭 2,000건 이상 사전 제거– 전기·덕트·배관 간 간섭사항을 착공 전 100% 검토– .. 2025. 3. 30.
BIM 설계단계는? 오늘은 실무에서 BIM을 적용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BIM 설계단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존 2D 기반 설계에서는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시공’ 순으로만 생각했다면, BIM 설계는 각 단계마다 모델링 수준(LOD), 정보입력 범위, 협업 방식, 산출물이 달라지기 때문에 더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BIM 설계단계란?BIM 설계단계란 기본설계부터 실시설계, 시공, 유지관리까지 이어지는 설계 전과정에서BIM 모델의 발전 수준(LOD)과 정보 입력 정도에 따라 구분된 설계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각 단계마다 모델이 해야 할 역할과 포함해야 할 정보량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그에 따라 참여자, 산출물, 검토 범위도 달라지는 것이 BIM 설계의 핵심입니다.BIM 설계단계는 마치 단순한 스케.. 2025. 3. 30.
BIM 설계기준 총정리 오늘은 실무자, 설계자, 발주기관 모두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할 BIM 설계기준(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esign Standard)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기준은 단순히 “3D로 설계하라”는 의미를 넘어, 정보 수준, 모델링 범위, 제출 형식, 협업 규칙까지 명확히 정리된 디지털 설계의 공식 매뉴얼에 해당합니다.특히 공공 건축물과 대규모 프로젝트는 국토교통부 BIM 설계기준 고시(국가표준)를 따르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BIM 설계기준이란?BIM 설계기준은 설계단계에서 BIM을 활용할 때 모델링 수준, 정보 범위, 도면 제출 방식, 간섭 검토 조건 등 설계자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세부 규정들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어디까지 BIM으로 ..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