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는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BIM 프로그램인 Revit을 실무적으로 약 3년간 사용한 경험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 경험을 바탕으로 한 Revit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적어볼까 합니다.
BIM 프로그램 Revit 장단점 요약정리
📌 Revit이란?
Revit이란 AutoCAD로 유명한 미국의 소프트웨어 업체 Autodesk에서 개발한 3D BIM 프로그램입니다. 정확히는 Autodesk에서 원천적으로 개발한 것이 아닌 Revit이라는 타 사 설계프로그램을 Autodesk 제품군에 인수합병한 것에 가깝습니다. 그러다보니 Autodesk 제품군과 호환되는 점도 많지만, 서로 안맞아서 빡치는 점도 많습니다.
📌 Revit의 장점
- (거의 유일한) 통합 공종 BIM 설계 솔루션. BIM을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사실 처음부터 BIM은 공종 별로 서로 따로 놀았습니다. 초기에는 토목위주 프로그램이 등장했고, 그 다음에는 구조 위주 프로그램, 그 뒤로 건축 관련 프로그램등이 등장했는데, Revit은 이 솔루션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토목&구조&건축&전기&설비 등을 한꺼번에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모든 공종 별로 100점짜리 성능을 내지는 못하지만 과목별 평균 40점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과락은 면하는 수준…)
- Model에 Information을 주기 편하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라는 취지에 맞게 Model에 정보를 부여하기 좋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Revit을 잘 이용할 수만 있다면 1개의 모델로 수량산출 & 시공상세도 & 도면화까지도 할 수 있습니다.
- API 개발이 편하다. BIM을 해보다보면 자연스레 ‘아 이건 사람이 할 짓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자는 API 개발을 통한 자동화설계를 생각하게 되는데요. Revit은 C# 기반의 API 개발 생태계가 잘 갖추어져 있어서 내가 외부 마켓에서 원하는 자동화설계 프로그램을 찾아내기도 쉽고, 내가 직접 개발하기도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이는 BIM 업무생산성을 높여주는 Revit만의 좋은 장점 중 하나입니다.
📌 Revit의 단점
- UI의 불편함. 러닝커브 상당히 높음. 굳이 단점 2번, 3번을 말할 필요도 없는 압도적인 단점입니다. Revit은 익숙해진 사람은 자연스레 다루지만 잘 모르는 사람은 쳐다보기도 힘든 프로그램입니다. 오토캐드와 완벽히 다릅니다. 누구나 쓸 수 없는 프로그램이기에 BIM 결과물 역시 시장에서 외면 받기 딱 좋습니다.
- 비싼 가격 정책. 1년 사용료가 300만원을 넘어갑니다. 그러다보니 중소규모 영세한 업체에서는 BIM 엔지니어는 커녕 BIM 소프트웨어 구매도 망설일 지경이고, 덕분에 관련 시장 활성화는 요원한 상태입니다.
📌 총평
이처럼 Revit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BIM 솔루션 중에서 원탑이라고 할 수 있으나, 넘사벽의 문제점들이 있어 아직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비판적인가요?)
아래의 포스팅에서 정리한 것처럼 BIM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생각해보면 “BIM이 몇년도에는 활성화될 것이다!” 라는 생각이 퍼지는 날이 언제가 될까 걱정입니다.
BIM LOD의 개념과 BIM의 문제점
오늘은 BIM LOD의 개념과 BIM의 문제점에 대해 말씀드리고다 합니다. BIM LOD의 개념과 BIM의 문제점✅ BIM의 특징 - LOD (Level of Detail)오토캐드와 같이 기존 2D 설계방식과 3D BIM 설계방식의 대표적인 큰
info-skill.tistory.com
반응형